지난 경진년과 신사년 겨울의 일이다. 내가 거처하던 작은 띳집이 몹시 추웠다.
입김을 불면 성에가 되곤 해, 이불깃에서 버석버석하는 소리가 났다.
내 게으른 성품으로도 한밤중에 일어나 창졸간에 <한서> 한 질을 가지고 이불 위에 죽 늘어놓아,
조금이나마 추위의 위세를 누그러뜨렷다.
이것이 아니었더라면 거의 얼어죽은 진사도(송나라때의 시인)의 귀신이 될 뻔 하였다.

간밤에도 집 서북편 모서리로 매서운 바람이 쏘듯이 들어와 등불이 몹시 다급하게 흔들렸다.
한동안 생각하다가 <논어> 한 권을 뽑아 세워 바람을 막고는 혼자서 그 경제의 수단을 뽐내었다.
옛사람이 갈대꽃으로 이불을 만든 것은 기이함을 좋아함이라 하겠거니와,
또 금은으로 새와 짐승의 상서로운 상징을 새겨 병풍으로 만드는 것은 너무 사치스러워 족해 부러워할 것이 못 된다.
어찌 내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이 창졸간에 한 것임에도 반드시 경사 (經史)를 가지고 한 것만 같겠는가?
또한 한나라 왕장이 쇠덕석을 덮고 누웠던 것이나, 두보가 말 안장을 깔고 잔 것보다야 낫다 할 것이다.
을유년 겨울  11월 28일에 적다.  - < 이목구심서 耳目口心書> 중에서




...이덕무! 그를 생각하면 나는 떠오르는 그림이 있다.
후리후리한 큰 키에 비쩍 마른 몸매.
퀭하니 뚫린 그러나 반짝반짝 빛나는 두 눈.
추운 겨울 찬 구들에서 홑이불만 덮고 잠을 자다가
<논어>를 병풍 삼고, <한서>를 물고기 비늘처럼
잇대어 덮고서야 겨우 얼어죽기를 면했던 사람.

글을 읽다 보면 얼음이 꽁꽁 어는 추운 방에서 시린 손을 호호 불어가며
한자 한자 또박또박 글씨를 써나가던 그의 마음이 그대로 전해온다.
온 몸으로 그 시대를 고민했던이,
폐병과 영양실조로 어머니와 누이를 먼저 보내는 처절한 궁핍 속에서도
제 가는 길에 추호의 의심도 없었던 사람.
세상에 그만큼 생을 열심히 살았던 사람이 있을까?

그가 남긴 글은 아름답고 슬프다....  

< 이 책을 편역한 정민 교수의 글 중에서>
♣ 도서명 - 책만 보는 바보  : 이덕무와 그의 벗들 이야기
    
이 책은 1761년 이덕무의 <간서치전>(책만 보는 바보 이야기)이라는 짧은 자서전을 바탕으로 저자 안소영의 상상에 의해서 재구성된 작품이다.

나는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 이서구, 홍대용, 박지원 등등의 인물을 떠올리면 국사 시간에 실학자로서 그들의 이름과 그들이 쓴 작품을 외우던 생각이 먼저 떠오른다. 
그리고, 실용적인 학문을 탐구했으나, 그 시대에 별로 쓰임을 받지 못해서 불운한 ... 서얼 출신들의 비애 그냥 그 정도일 뿐이었다.
그런데, 재미없게만 여겼던 실학자들의 이야기가 이렇게 쉽게 생생하게 살아서 말을 하는 것처럼 할 수도 있다니...

이 책에서 말하는 이는 '나' 이덕무이다.
글을 읽으며, 우리는 자연스럽게 18세기 중엽으로 돌아간다.

1792년(정조시대) 12월 20일 대궐에서 규장각의 검서관으로 일하는 '나'는 며칠 만에 겨우 짬을 내어 집으로 돌아와 겨울 햇살을 받으며, 옛 기억 속으로 들어간다.

어렸을 때부터 책 읽는 것을 가장 큰 즐거움으로 알고 자랐지만, 서자라는 신분 때문에 책을 보나 그것이 쓰임을 받을 수는 없는 신세라 '책만 보는 바보'일 수 밖에 없다.
집안에 경제적인 어려움이 크지만 어쩔 도리가 없이 견디는 수 밖엔...

추위와 배고픔에 시달리면서도 책을 읽다가 어느 날 스스로를 위로하며 적어 놓은 글 하나!
 
<책읽기의 이로움>
첫째, 굶주린 때에 책을 읽으면, 소리가 훨씬 낭랑해져서 글귀가 잘 다가오고 배고픔도 느끼지 못한다.
둘째, 날씨가 추울 때 책을 읽으면, 그 소리의 기운이 스며들어 떨리는 몸이 진정되고 추위를 잊을 수 있다.
셋째, 근심 걱정으로 마음이 괴로울 때 책을 읽으면, 눈과 마음이 책에 집중하면서 천만가지 근심이 모두 사라진다.
넷째, 기침병을 앓을 때 책을 읽으면, 그 소리가 목구멍의 걸림돌을 시원하게 뚫어 괴로운 기침이 갑자기 사라져 버린다. -  책 속에서
                  
지금 내가 투덜대는 온갖 힘든 일이 다 하찮게 여겨진다.
절대적인 빈곤 속에서 추위를 막기 위해서 책들을 세워 병풍 삼아 둘러쳐 보기도 하고, 얇은 이불 위에 책을 펴서 올려 놓곤 잠을 청하기도 하는 '나'는 이 모든 어려움을 책 속으로 애써 파고들며 잊고자 한다.

그리고 그에게 삶의 큰 위안이 되어 준 친구들과의 사귐들!
내 마음의 벗들-박제가, 유득공, 백동수 그리고 이서구.
또한 동시대를 살다간 스승들-홍대용, 박지원-과의 만남으로 큰 세계에 대해서 눈을 뜨게 된 '나'는 마침내 마흔을 눈앞에 두고 드디어 세상 속으로 나가게 된다.

친구들과의 교분과 스승들과의 만남이 한 장씩 서술되어 있어 읽기에 편하다.
소설같은 극적인 긴장감은 덜 하지만...아쉬운 점!

1793년 1월 감기로 자리에 누웠다가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고 눈을 감는 이덕무!
한 많은 인생이었으나, 그래도 친구가 있었기에 그리고 미래의 손자들의 삶은 더욱 밝아지리라 믿었기에 편안히 눈을 감을 수 있었으리라. 
물론, 그로부터 7년 뒤 정조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많은 친구들과 실학자들의 처참한 운명을 몰랐기에...

작가는 머리말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나는 이덕무의 마음 속으로 좀 더 들어가 보기로 했습니다. 부드러운 햇살이 창호지문으로 스며들듯, 그의 마음에 스며들어 그 자신이 되어 보는 것입니다. ---

그의 말마따나 책 읽는 내내 18세기로 돌아가 이덕무의 고단한 인생과 책읽기의 진정한 즐거움을 누렸던 그 때로 돌아갈 수 있었던 것 같다. 따뜻한 겨울 햇살이 들어오는 곳을 따라 상을 옮겨가며 책읽기에 열중하는 그 모습이 눈에 선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