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경진년과 신사년 겨울의 일이다. 내가 거처하던 작은 띳집이 몹시 추웠다.
입김을 불면 성에가 되곤 해, 이불깃에서 버석버석하는 소리가 났다.
내 게으른 성품으로도 한밤중에 일어나 창졸간에 <한서> 한 질을 가지고 이불 위에 죽 늘어놓아,
조금이나마 추위의 위세를 누그러뜨렷다.
이것이 아니었더라면 거의 얼어죽은 진사도(송나라때의 시인)의 귀신이 될 뻔 하였다.

간밤에도 집 서북편 모서리로 매서운 바람이 쏘듯이 들어와 등불이 몹시 다급하게 흔들렸다.
한동안 생각하다가 <논어> 한 권을 뽑아 세워 바람을 막고는 혼자서 그 경제의 수단을 뽐내었다.
옛사람이 갈대꽃으로 이불을 만든 것은 기이함을 좋아함이라 하겠거니와,
또 금은으로 새와 짐승의 상서로운 상징을 새겨 병풍으로 만드는 것은 너무 사치스러워 족해 부러워할 것이 못 된다.
어찌 내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이 창졸간에 한 것임에도 반드시 경사 (經史)를 가지고 한 것만 같겠는가?
또한 한나라 왕장이 쇠덕석을 덮고 누웠던 것이나, 두보가 말 안장을 깔고 잔 것보다야 낫다 할 것이다.
을유년 겨울  11월 28일에 적다.  - < 이목구심서 耳目口心書> 중에서




...이덕무! 그를 생각하면 나는 떠오르는 그림이 있다.
후리후리한 큰 키에 비쩍 마른 몸매.
퀭하니 뚫린 그러나 반짝반짝 빛나는 두 눈.
추운 겨울 찬 구들에서 홑이불만 덮고 잠을 자다가
<논어>를 병풍 삼고, <한서>를 물고기 비늘처럼
잇대어 덮고서야 겨우 얼어죽기를 면했던 사람.

글을 읽다 보면 얼음이 꽁꽁 어는 추운 방에서 시린 손을 호호 불어가며
한자 한자 또박또박 글씨를 써나가던 그의 마음이 그대로 전해온다.
온 몸으로 그 시대를 고민했던이,
폐병과 영양실조로 어머니와 누이를 먼저 보내는 처절한 궁핍 속에서도
제 가는 길에 추호의 의심도 없었던 사람.
세상에 그만큼 생을 열심히 살았던 사람이 있을까?

그가 남긴 글은 아름답고 슬프다....  

< 이 책을 편역한 정민 교수의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