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야기 | Posted by Book Hana 2012. 2. 15. 04:20

알레프



저자 파울로 코엘료 Paulo Coelho는 <연금술사>라는 책을 통하여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작가이다. 그의 특이한 이력은 나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였다. 1947년 리우데 자네이루에서 태어나서, 그후 록 음악 작곡가로 브라질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고, 저 널리스트, 록스타, 극작가, 세계적인 음반회 사의 중역 등 다양한 이력을 거쳤다고 한다.
 
2006년, 코엘료는 3월부터 7월까지 오랜 꿈이었던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유라시아 대륙을 횡단한다. 그리고 그 여행에서 전혀 예상치 못하게도, 뛰어난 재능을 가진 바이올리니스트 힐랄을 만난다. 둘은 함께 시간과 공간을 여행하는 신비로운 경험을 하고, 그 여행을 통해 사랑과 용서, 그리고 생 앞에 놓인 도전을 극복하는 법을 배운다. 이 책『알레프』는 이때의 놀랍고도 감동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이다

“지금, 당신은 몇 개의 생을 살고 있습니까?” 

책 표지에 나와있는 이 글귀처럼, 윤회설에 근거하여 우리는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갈 것인가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주제는 다소 무거운 것이지만, 소설의 형식을 빌어서 이야기를 전개하므로 그리 심각한 표정으로 책읽기를 시작하지 않아도 된다.  

꿈꾸는 이는 결코 길들여지지 않는다 

“안전하고자 한다면 평범해지면 되지요. 하지만 정말로 원하는 일을 하려면 위험을 감수해야 해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그래서 실패를 즐기는 사람들을 찾으십시오. 실패 때문에 그들의 업적이 인정받지 못하기도 하지요. 하지만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은 결국 그런 사람들이고, 그들은 시행착오 끝에 그들 공동체를 완전히 변모시키는 무언가를 이루어냅니다.”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절대로 잃지 않아요. 그들은 우리와 함께합니다. 그들은 우리 생에서 사라지지 않아요. 다만 우리는 다른 방에 머무르고 있을 뿐이죠. 나는 옆 객차 안에 무엇이 있는지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곳에는 분명히 나와 당신과, 우리 모두와 같은 시간에 여행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그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없다는 것, 다른 객차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알 수 없다는 것은 조금도 중요하지 않아요. 그들은 거기에 있어요. 그러므로 우리가 ‘생’이라고 부르는 것은 여러 개의 객차로 이루어진 기차와도 같은 것입니다. 때로는 이 칸에 탔다가 때로는 저 칸에 타고, 꿈을 꾸거나 기이한 경험에 휩쓸리면 이 칸에서 저 칸으로 가로지르기도 하는 것이죠.” 

< 책속에서 > 

일전에 읽었던 법륜 스님의 글이 생각나는 대목이다.
사람의 삶이란 것이 우리가 있는 이 방문을 열고 들어오면 그것이 태어나는 것이고, 문을 닫고 나가면 그것이 죽음인 것을...
문을 닫고 나간다는 것은 없어진다는 것이 아니고, 다른 곳으로 간 것 뿐인데 왜 사람들은 그것을 깨치지 못하고 그리도 슬퍼하는 것인지...

책 내용중에 중세의 마녀사냥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사실 마녀사냥이란 말의 뉘앙스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실제로 마녀라고 제시하는 증거라는 것들이 터무니없는 것이다.
때로는 정적을 제거하기위하여, 또는 개인적인 원한관계 등으로 무고한 사람을 마녀로 몰아서 화형에 처하는 경우가 많았을 것이다. 그때 마녀로 지목된 자신의 딸이나 가족들을 위하여 할 수있는 것이라고는, 사형집행인을 매수하여 화형식을 집행할 때 기름을 많이 부어, 실제로는 불에 타서 죽는 것이 아니고, 연기에 미리 질식사하게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훨씬 고통을 덜 받으며 죽을 수 있는 길이므르...       

이런 대목을 읽으면 입맛이 쓰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도 편가르기가 횡행하여, 나와 생각이 다르면 무조건 적(敵)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많다. 적(Enemy)이란 나와 생각이 다르거나 반대편에 있는 사람이지, 객관적으로 나쁜 사람이란 뜻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타도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차 한잔과 함께, 조금은 여유를 가지고 자신의 전생과 내세를 생각해보며 읽어볼만하다.
  
작가의 말을 직접 들어보자.

『알레프』는 내가 공개적으로 쓴 첫 책입니다(많은 눈이 나를 지켜보고 있는 느낌이 들었다는 뜻입니다. 물론 혼자 글을 쓰긴 했지만, 집필중에 매일 내가 느끼는 것에 대해 트위터에 업데이트를 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2010년 3월 11일 목요일 새벽 두시, 이 책을 탈고했습니다.

2006년 나는 신의 뜻에 따라 세번째 성스러운 순례길을 떠났습니다.

내 첫번째 순례는 1986년에 떠난 ‘산티아고의 길’이었습니다. 그때 내가 한 것은 공간의 순례였습니다. 두 지점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를 이동한 것입니다. 나는 프랑스의 국경지대에서 오 세브레이로(갈리시아)까지 거의 6백 킬로미터의 거리를 걸어갔습니다. 그리고 이 여정은 『순례자』라는 책으로 묶여 나왔습니다.

1989년에 떠난 두번째 순례인 ‘로마의 길’은 시간의 순례였습니다. 실제로 로마를 향해 길을 떠난 것은 아니지만 칠십 일 동안 걸어야 할 장소를 골라야 했고, 그때 내가 택한 곳은 프랑스의 피레네산맥 지방이었습니다. 그 순례 기간에 나는 꿈을 꾸고 다음 날 일어나 꿈을 꾼 그대로 따라해야 했습니다. 아무리 그 꿈이 터무니없더라도 그래야 했습니다. 버스 정류장이 나오는 꿈을 꾸고 다음날 버스 정류장에서 세 시간을 아무 일 없이 보낸 기억이 납니다. 이 순례에서 나는 여성적 에너지와 만나게 되었고, 나는 내 안의 여성적 면모가 스스로 그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보면서 『브리다』와 『피에트라 강가에서 나는 울었네』를 썼습니다.

세번째로 내가 떠나는 순례는 ‘예루살렘의 길’입니다. 이번에도 예루살렘까지 실제로 갔던 것은 아닙니다. 대신 시간과 공간을 여행해야 했습니다. 당시 내가 해야 할 유일한 임무는 네 달 동안 집을 떠나 있는 것이었습니다.
순례중에 나는 여러 나라를 들렀지만 깨달음은 아시아 대륙을 가로지르는 시베리아 횡단열차 안에서 찾아왔습니다. 모스크바에서 출발해 보름 동안 일곱 개의 시간대를 지나 블라디보스토크까지 가는, 9288킬로미터에 달하는 길 위에서였습니다. 힐랄이라는 이름의 한 터키 소녀(진짜 이름은 아닙니다)와 함께였습니다. 그녀와 나의 이야기는 책 속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겁니다. 시간과 공간이 한데 존재하는 이 지점은 ‘알레프’라고 불립니다.  그래서 나는 내 새 작품의 제목을 『알레프』라고 지었습니다.

이 순례를 책으로 쓰는 데 이토록 오랜 시간이 걸린 이유는 무엇일까요? 내가 이 여정을 이해하는 데 꼬박 삼 년이 걸렸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여행안내서가 아닙니다. 물론 오랜 기간의 열차 여행이 어떤 의미인지를 묘사하기는 했지만, 내가 이 책을 쓴 것은 내 영혼과 내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로 긴 여행을 떠나기 위해서입니다.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유도원  (0) 2012.04.05
내가 잠들기 전에  (0) 2012.03.13
어둠의 아이들  (0) 2012.02.03
'난중일기'를 읽으며 ...  (0) 2012.01.14
오 하느님  (0) 201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