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야기 | Posted by Book Hana 2009. 9. 29. 06:03

천년의 금서 - 대韓민국의 비밀


벌써 13여년전의 일이었던가?

한국에서 한때 고대사에 대한 책들이 봇물 터지듯이 유행한 적이 있었다.
'한단고기' '고구려, 백제, 신라는 한반도에 없었다' 등...
주로 한국의 고대사와 삼국시대의 역사가 일본에 의하여 왜곡되었다는 이야기와 함께, 학교에서 배워왔던 역사의 내용과 너무 달라서 한동안 혼란을 겪었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소설가 최인호씨가 중국으로 들어가 고구려의 역사를 캐고 다니다가, 중국으로부터 입국금지를 당했다는 이야기도 그 무렵이었던 같다. (지금은 입국금지가 해제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요즘이야 중국의 '동북아공정'에 대해서는 누구나가 다 아는 얘기가 되었고...

이제 한국도 이전처럼 배달의 겨레인 단일민족임을 강조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학교 일선에서는 다민족 문화의 정착을 위한 교육에 힘쓴다고 들었다.

사실 한때 아주 인기가 높았던 '주몽'이라는 드라마를 보면서도 많은 생각이 들었다.
주몽을 도와 고구려를 건국하게 되는 민족이 과연 한(韓)민족뿐인가에 대하여 약간 회의가 있었다.
더우기 백성들은 거주지역이 고구려 정권의 영향이 미치는 곳에 살고 있었으면 말갈족, 여진족, 만주족 심지어 한(漢)족까지도 고구려 백성이 되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기때문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고구려의 정신을 이어받은 고려(Corea, Korea)인의 후예인 단일배달민족의 자긍심을 가지도록 교육받았고, 그렇게 살아왔다.
이후 조선이 고조선의 정신을 계승하였다고 하나 같은 맥락의 이야기이다.

자 이제 대韓민국이라는 국호에 대하여 생각해보자.
2002년 월드컵 축구에서 4강신화를 달성할 때, 온국민이 목높여 부르던 '대한민국 짝짝짝~'의 그 대한민국 말이다.
그 국호가 어디에서 유래된 것인가는 우리도 다 아는 이야기인 것 같기도 한데...
일본, 러시아 등의 열강 틈바구니에서 힘을 못쓰던 고종황제가 국호라도 바꾸어서 심기일전 하려고 선택한 이름이 바로 대韓제국이다. 대한민국은 바로 그 대한帝국이 공화국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대한民국이 된것이고.

그러면 대韓제국은 무엇을 계승하기 위하여 국호를 그렇게 결정한 것일까?
당시 고종황제의 힘이 별로 없을 때이었므로, 새로운 나라의 비젼을 제시하는 것보다는 과거에 융성했던 우리의 역사속에서 그 이름을 따오지 않았을까? 마치 고려(고구려), 조선(고조선)처럼.
중국 5호16국시대 국가중의 하나인 韓나라를 계승할려고 한 것은 분명 아닐테고.

'천년의 금서'는 바로 이 대韓민국이라는 국호의 유래를 추적하는 내용의 소설이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의 김진명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하여 우리가 너무나도 무심히 지나치고 있는 이 문제에 대하여 나름대로의 객관적 입증자료를 통하여 분석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작가는 우리의 고대사에서 고조선보다 훨씬 이전에 존재한 나라의 실체를 이야기한다. 그리고 미국의 NASA 프로그램에서 증명되는 천문학적 실체에 대한 진실도 파헤치고 있다. 고대사 문제를 새롭게 조명하며, 다시 한번 한국인의 정신을 일깨워준다.

“한국인들도 한자로 된 성을 쓰지 않습니까?”
“물론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인들의 성 중에 중국 정부가 유래를 감추고 싶어 하는 성이 있다는 얘기도 되겠네요.”
귀가 번쩍 뜨이는 얘기였다. 정서는 새삼 왕부라는 학자가 아주 큰 의미로 다가오는 것을 느꼈다. 그리고 어째서 은원이 중국의 금서를 그리 추적하는지 알 것 같았다. 〈씨성본결〉은 사람의 성씨를 논한 책이지만 그 안에 있는 한국인의 어떤 성씨를 더듬다보면 한국인의 역사가 자연히 드러난다는 사실이었다.
“호오! 그런 성이 있을까요? 그게 뭘까요?”
링차이는 웃었다.
“나는 한국의 성은 잘 모릅니다.”
< 책속에서 >

“경주박물관에 가보면 우리나라 최초의 고대국가가 탄생한 시기를 기원전 40년 무렵으로 잡고 있습니다. 이 무렵 삼국이 신라, 고구려, 백제 순으로 생겨났다고 일본인 학자들이 철골을 세우고 여러분들이 콘크리트를 친 역사입니다. 그전은 물론 단군 할아버지의 고조선입니다.”
“조롱하지 말고 하시오!”
“지금 과학실험으로 보았듯 우리에게는 기원전 18세기에 오성취루의 기록이 있고 기원전 10세기에 남해조수퇴삼척의 기록이 있습니다. 그 텅 비었다는 우리 역사에 이토록 문명화된 나라가 있었다는 얘깁니다. 이제 이 나라의 존재를 역사 기록으로 찾아보겠습니다.”
“당신이 그렇게 강력하게 주장하는 기록은 뭐요? 주나라 때의 기록이라도 된단 말이오?”
< 책속에서 >


많은 부분에서 공감이 가는 내용이었고 이야기도 재미나게 풀어나가고 있다.
무엇보다도 한국인으로서 자랑스러운 우리의 역사가 실재하였다는 것을 정말 믿고 싶은 마음도 든다. 

우리말의 유래가 '우랄알타이어족'에 속한다는 것은 학창시절에 자주 시험문제로 등장하는 것이었다. 또한 중앙아시아 지역의 바이칼호 인근에서 우리와 생김새가 아주 흡사한 현지인들을 쉽게 볼 수 있다는 이야기도 들은 적이 있고.
비록 소설 형식을 빌리고 있기는 하지만, 그 내용이 역사적으로 사실일 수도 있겠다 싶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국도 이제 다민족문화를 받아들여야 하는 형편이므로, 이 소설의 내용이 100%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민족제일주의 또는 순혈주의를 고양하지는 못할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이 짧지 않은 세월을 살아오면서, 그냥 무심히 사실로 받아들여버린 많은 것들이 누군가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면, 이제라도 다시 한번은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남은 세월들이 덜 아깝지 않을까?